망유람
-
테터툴즈 1.1로 업그레이드망유람 2006. 11. 16. 11:23
설치형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한 1년여 동안 '무버블타입'을 쓰다가 올 2월부터 '테터툴즈'로 운영툴을 바꾸었다. 정확한 버전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아마 1.04정도부터 시작한 거 같은데, 이번에 1.1 버전이 나와서 어제 업그레이드를 하였다. 그동안 1.0부터 1.0.6.1 버전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면 이번 버전은 100여가지가 바뀌고 보강되었다는 데 정확히는 모르긴 하지만 관리자 페이지만 하더라도 인터페이스부터 확 바뀌어 한눈에 대대적인 개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튼 2월부터 버전업할 때마다 꼭 업그레이드를 하였는데, 항상 손이 가는 것이 스킨작업이었다. 나름대로 무버블 타입에서 배웠던 css를 이용한 코딩을 해와서 이를 토대로 테터 기본 스킨을 변형해서 쓰고 있다. 이번에는 스킨편집에서 사이드..
-
구글 뉴스의 UCC 도입?망유람 2006. 10. 25. 12:04
서방세계에 비해 구글의 한국 뉴스 서비스는 일반 네티즌에겐 아직까지 그다지 호응은 없다. 몇몇 언론사 종사자나 포털뉴스에 진력이난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 걸로 생각이 된다. 뉴스를 수집하여 보여주는 방식은 미국의 구글뉴스의 알고리즘과 대동소이한데, 오늘 보니 구글뉴스의 수집방식이 좀 바뀌었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적 특색을 적용했다고 해야 할까? 요즘 북핵문제로 퇴임 후 가장 바쁘고 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김대중 전대통령에 대해 구글뉴스에서 검색을 해보았다. 어제 조선일보 망국적 사설과 프레시안에서 주목한 김대중 전대통령의 활동에 덧붙여 좀 더 다양한 뉴스를 접해보고 싶어서 였다. 뉴스 검색어에 '김대중'을 넣으니 예의 여러 매체의 기사와 이슈가 되는 기사에 관련매체 기사를 묶은 구글뉴스 검색다운 뉴스..
-
Feedwave 가입.망유람 2006. 10. 24. 11:24
우연히 알게된 rss 발행지원 및 통계관리 사이트인 '피드웨이브'란 사이트에 가입하였다. 기존에 널리 알려진 피드버너 사이트를 모델로 한 국내 사이트인데, 각종 로봇에 대한 트래픽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말에 솔깃해서 가입하게 되었다. 나의 원 RSS 주소를 이곳에서 제공하는 새 RSS 주소로 변경을 하였다. 변경 주소는 http://rss.feedwave.com/roffhop 이다. (혹시 이전 주소로 구독을 하고 계신 분들이 있다면 변경해주셔야 될 것 같네요.^^:) 그런 후 메타블로그 사이트에 새 RSS 주소 변경 작업을 했는데, 올블로그나 블로그코리아는 손쉽게 계정페이지에서 변경이 가능했다. 헌데, 미디어몹의 오픈 블로그나 일간스포츠의 블로그 플러스는 변경을 어떻게 하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어..
-
인터넷과 소주망유람 2006. 8. 30. 11:48
얼마전 부터 소주를 마시러 가면 당장 우리 테이블부터도 '처음처럼'을 많이 시킨다. 옆테이블의 놓인 녹색병들을 보더라도 진로의 '참이슬'보다는 '처음처럼'이 눈에 더 많이 띄는 것 같다. 전에 두산에서 '산'이 나왔을 때는 술자리에서 나때문에 '산'을 따로 시키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번에 '처음처럼'은 온리 진로파 친구들도 대체로 스스럼없이 마시는 것 같다. 물론 친구들중 한명은 아직도 온리 '참이슬'을 마시고, 일전에는 반항심인지 빨간뚜껑 '진로소주'를 어렵게(?)구해서 가지고 와서 부득이 오랜만에 마셔봤는데 20대때 한창 마시던 그 추억을 마시되 확실히 요즘 추세로는 독한 느낌이었다. 인터넷에서도 '처음처럼'의 도약이 반영된 것 처럼 처음처럼의 도메인은 'soju.co.kr'이다. 이 도메인을 보고 ..
-
정치 성향 테스트망유람 2006. 6. 22. 13:41
우연히 ryan님의 블로그에 알게되어 정치성향 테스트를 하게 되었다. 아래의 그래프가 나의 테스트 결과이다. 좀 많이 왼쪽이, 아래로는 조금 내려가있다. 이런 테스트라면 인터넷으로 누리기 고마운 것이라 생각이 든다. 테스트 결과보다도 테스트를 해나감에 있어서 설문내용을 곱씹어 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단 생각이든다. 예전에 정치심리학이란 수업을 들을 때 어떤 이론이 떠올랐다. 뭐냐면 친밀도와 정치성향에 관한 삼각형 이론이었는데, 친밀관계에 있어서 다른 어떤 것보다도 정치적 성향의 공통성이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즉 아무리 같은 취미와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정치성향이 다르면 어떤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었다. 아마 그 예로는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와 로버트 레드포드의 '추억'의 관계를 보라 했었다. -요즘..
-
DTV의 멀티캐스팅 방송의 득과실망유람 2006. 6. 7. 09:52
일명 HD방송으로 알려진 지상파 디지털방송이 며칠전 부터 MMS(멀티 모드 서비스) 시험방송을 하고 있다. MMS란 그동안은 UHF 안테나를 통해 각 방송사마다 HD방송 신호를 하나씩 송출했다면 이 HD방송 전파에 SD급 화질 방송과 문자, 음성 방송을 동시에 보내는 다중방송의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멀티캐스팅 방송이 비록 시험방송이긴 하지만 시작됨에 따라 두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하나는 케이블 사업자의 반발이고 또 하나는 그동안 HD방송을 보고 있던 시청자들이다. 케이블 방송사는 공중파 방송사의 다채널 방송으로 인해 자신들의 소비자의 이탈을 우려하고 있으며,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1080i의 화질에서 다채널 방송으로 인한 화질의 저하에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지상파는 채널이 늘어남에 따라 화잘이 ..
-
다음넷의 멀티킷 서비스망유람 2006. 5. 8. 16:22
다음넷에서 동영상 편집이 강점인 무료 소프트웨어 '멀티킷' 베타서비스를 오늘 시작했다. 이런 식의 무료 소프트웨어는 그동안은 툴바라던가 각종 액티브x라던가 해서 노골적인 자사 유입을 위한 프로그램이었다. 이와 반면에 구글의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배포는 느슨하다고 할까 물론 구글의 툴바나 피카사 등의 프로그램 역시도 자사의 사이트 유입을 위한 역할도 하지만 그보단 검색의 범위를 사용자의 PC로 까지 확대하는 일환이라고 보인다. 언젠가 부터 인터넷업체 사이에 "UCC"가 화두가 되더니 기존의 웹툴에서 벗어나 이런 프로그램을 배포하기에 이르렀다. 앞서 말한 구글이나 기존의 알툴즈사의 프로그램에 비하면 상업적인 냄새가 물씬 하지만 그래도 이런 식으로 좋은 프로그램을 무료로 배포 받고 사용할 수 있지 않나 싶긴 ..
-
인터넷으로 TV를 보다망유람 2006. 4. 25. 15:38
오늘 한나라당 서울시장 경선이 있는 날이다. 그 전에는 메이저리그에서 애리조나를 상대로 2승에 도전했고 오전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한 대국민 연설이 있었다. 오늘은 이 모든 영상을 인터넷으로 보았다. 경선은 오마이TV에서 박찬호 경기는 야후에서 대통령 연설은 KBS에서.. 그동안 인터넷상의 동영상 특히 LIVE에 대해서 그다지 흥미를 느끼진 못했다. 그저 동영상은 흥미위주의 가십같은 것만을 연상했다고나 할까. 한동안 방송국 인터넷쪽에서 일했던 사람으로 객쩍은 이야기지만 기존의 공중파와 케이블 TV 그리고 DMB등의 영상과는 달리 인터넷 동영상의 위치란 앞서 말한 매체에 대한 재방영, 아카이브 정도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왔으며 인터넷 전용으로 만든 영상의 역량은 아직까진 부족하단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