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유람
-
'나우뉴스'를 아십니까망유람 2007. 11. 27. 08:56
신문에서 가장 인기있는 분야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만화를 제일로 꼽고, 두번째는 사회면 그중에서도 아마 사건사고가 아닐까 싶다. 그리고 해외 토픽이라는 면이 있는데, 솔직히 해외 소식은 앞서 말한 사건사고의 글로벌화라서, '믿거나, 말거나'할 경우가 많다. 게다가 요즘 3-40대들의 어린 시절 , 와 같은 잡지의 추억이 있는 세대는 그때 보았던 신기한 미스테리, 초능력 등등의 나라밖 토픽들은 더욱 친숙하고 흥미로운 소재가 아닐까 싶다. 인터넷 뉴스에선 특히 이부분에 전문성(?)을 가지고 특화한 매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팝뉴스나 이런뉴스, 그리고 최근에 등장한 서울뉴스의 나우뉴스 등이 바로 그러한 해외토픽 위주의 인터넷 매체들이다. 이와 같은 매체들은 주로 해외 언론들을 서치하다가 흥미로운 토픽성 ..
-
블로그 코리아 다시 열다망유람 2007. 7. 17. 10:10
블로그 코리아가 예고한대로 오늘 다시 문을 열었다. 우선 눈에 띄었던 것은 내 기억으론 대표 URL이 org였던것으로 아는데 오늘 보니 브라우저 창에 blogkorea.net으로 되어 있다. 메인 화면의 붉은 색 계열의 깔끔한 디자인이 눈에 쏙 들어왔다. 로고는 자유 곡선의 문양이었고, Media revolution by YOU 라는 슬로건도 눈에 띄었다. 기본적인 메뉴나 레이아웃은 여타 메타 블로그 사이트와 대동소이했다. 이를테면 태그가 가장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좌 우측엔 카테고리 및 신규, 인기글 목록이 표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헤드라인 하단에 박스로 되어 있는 카테고리 글들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자바오류인지 해당 블로그로 넘어가지 못하는 장애가 있다. 간단하게 새로 단장한 블로그코리아의 사이트 분..
-
커뮤니티란 무엇인가?망유람 2007. 1. 12. 09:24
커뮤니티란 사람이 모이는 곳. 모여서 의견을 개진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곳이다.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는 플랫폼 기반 커뮤니티는 연대감이 적어 지속성이 떨어진다.기존의 아무리 작은 규모의 커뮤니티라도 폐쇄적 커뮤니티는 비교적 충성도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 카페의 선점효과 지속이라든지, 일정 부분의 프리챌 커뮤니티 비율 유지하나, 네이버의 까페는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싸이월드의 경우 이제는 미니홈피 위주의 개인 미디어로 완전히 변모했다. 따라서 커뮤니티 개념이 까페에서 개인미디어인 블로그 등으로 인식 변화하고 있다. 플랫폼 기반의 커뮤니티는 월드컵 열기와 같이 단순히 붐업되고 사라지는 휘발성이 크다. 이러한 개인화된 커뮤니티에 끝없이 아젠다를 주고 공통의 관심사를 이끌어 의견을 주고받게 할 수 있는 것이 뉴..
-
MS에서 형상화한 '일상이란'망유람 2007. 1. 10. 18:20
오늘 우연히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11 한글판을 깔았다. 무턱대고 깔다가 아래 블로그에 도움을 입었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11) 한때 꽤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집착한 적이 있었다. 요즘에 와서는 귀찮기도 하고 예전처럼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에 그다지 관심을 두진 않게 되었다. 그나마 꼬박꼬박 판올림을 하는 것은 백신 프로그램과 테터툴즈 정도일 거다. 여튼 미디어 플레이어 11을 깔아보니 블랙톤의 휴대폰을 연상시키는 스킨 디자인을 보니 기분은 새로웠다. 지난해 팀장이 보내준 인기가요 Top50을 들으면서 플레이어를 보다가 시각화 종류를 클릭해봤다. 연금술, 막대와 파동, 배터리 등의 분류를 돌아다니다가 보니 '일상이란?' 이름의 시각화 효과가 있었다. 바다 안개, 불의 바다, 막..
-
구글 뭉크망유람 2006. 12. 13. 10:27
내 기억으로는 어제부터 전세계 모든 구글의 타이틀 로고가 뭉크의 를 패러한 이미지로 바뀌었다. 나름 오해한 것은 아마도 어제 이슈가 되었던 구글의 익스플로러 7 프로모션 페이지의 야후 표절 사건(구글엔 웹 디자이너가 없다?)에 대한 애교있는 사과가 아닐까 하고 생각했었다. 실상은 작가 뭉크의 생일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Google Today : Munch) 구글 로고 디자이너가 그냥 영감을 받아서 그런건지 어떤건지 속내는 알 수 없지만 절묘한 타이밍에 오해할만 하다. 여튼 전자의 오해가 오히려 더 살갑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마치 나같은 개인이 자신의 블로그에 로고 이미지를 바꾸는 것과 닮은 소박함이 느껴진다. 다른 한편 김홍도의 탄신일에 우리 포털 사이트들이 저런 식의 기념을 할 수 있을..
-
Word 2007로 테터툴즈에 포스팅하기망유람 2006. 12. 8. 18:33
테터관리툴 센터에 들어오면 며칠전 부터 제목처럼 'MS Word 2007로 테터툴즈에 포스팅하기' 라는 공지가 떠 있다. 아직 MS word 2007을 사용해보진 않았지만 이 기능 필요할 것 같다. 얼마전에 뉴라이트 이사장 안병직과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해 문제점에 대해 여러가지 생각들일 정리한 글을 대략 1시간 남짓 쓴적이 있었다. 물론 테터 관리툴에서 직접 작성을 했고 글을 마무리하고 관련 링크를 열심히 달고 있던 차에 갑자기 새로고침이 되면서 글이 다 없어져 버렸다. 다들 경험해보셨겠지만, 예전에 한글이나 워드가 다운되었을 때의 그 황망함, 온라인에서 입사지원할 때 작음 따옴표(') 때문에 입력한 게 다 사라져 전부 다시 써야만 했던 그 짜증이 되살아 났다. 그래도 테터에는 임시저장 기능이 있기에 한..
-
네이버 뉴스 내 검색 결과 변경망유람 2006. 12. 1. 18:00
오늘 오전까지 감감하던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가 오후 중에 변경되었다. 그 내용인 즉슨 네이버내 뉴스검색을 했을 때 검색결과로 나온 뉴스를 클릭 했을 때 그 해당 언론사의 홈페이지 기사가 뜨는 것이다. 우리나라 특유의 무늬만 포털인 '네이버'와 '다음' 이란 기업의 존재자체 처럼 우리나라 특유의 1등 제일주의와 쏠림현상으로 인해 네이버의 변화에 따라 일희일비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당연히 가장 영향력있는 회사의 행동은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좋지만 장단점을 따져 보는 극복의 대상이 아니라 경탄과 시기의 대상만으로 자리매김하는 것 같아 조금 불만이다. 어제 김중태 문화원의 '구글과 네이버는 어떻게 다른가'라는 글에서 일목요연하게 잘 지적이 되었지만 우리나라의 포털이라는 네이버 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