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당선의 원리정경사 2025. 4. 27. 12:57
독재종식, 지역통합, 세대갈등, 공정이슈 등 우리의 대선 때 마다 소위 시대정신이란 명분을 잡으려 치열한 선거전쟁을 치러왔고 결과를 두고 수많은 분석과 해석을 내놓았습니다. 그리고 그때마다 새로운 집권세력에 의미를 부여하느라 고심했습니다.
윤석열의 계엄과 탄핵으로 시작된 이번 대선 역시도 내란 종식, 헌법 수호 한편은 체제전쟁 등 저마다 집권 명분과 시대정신을 주장하고 있습니다만 과연 그럴까요?
제가 보기에 우리나라 역대 대선은 결과만 놓고 보면 가장 핵심적인 변수와 영향은 수싸움 즉 정치공학적인 측면이라고 봅니다.
삼김 분열로 인한 노태우 당선, 정주영 출마 덕을 본 YS 당선, 이인제 출마+DJP연합으로 DJ당선, 정몽준과 단일화 영향으로 노무현 당선, 지금과 가장 유사한 상황인 19대 대선도 홍준표, 안철수의 분열로 인한 문재인 당선 3년 전 대선도 윤석열, 안철수와 단일화 덕분입니다. 유일하게 예외적인 경우는 정동영이 패배하고 이명박이 압도적으로 당선되었을 때 입니다.(이 경우에도 노무현의 실정 외에 내부적으론 소위 '영패'라 불리는 즉 진보 진영이 분열돼서 일어난 팀킬 현상이란 분석이 있습니다.) 이러한 분열없이 진보-보수 정면승부를 한 경우가 박근혜, 문재인 대선이며 이 경우 결과를 예측하기 힘든 5:5 승부였습니다.
민주당의 캐치프레이즈와 다르게 계엄의 심판은 거의 끝난 것으로 보입니다. 탄핵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지지세가 유지되고 있는 점이 정동영때 와는 입장이 다르다고 보입니다 따라서 진영별로 단일화가 되었을 땐 언제나 그렇듯이 50대50입니다. 따라서 진보-보수 정책대결로 중도층 확장이 옳은 방향이긴 하지만 아쉽게도 주요한 변수가 될 수 없습니다.
민주당의 이재명은 50고지에 안정적으로 올라와있으며 이는 이회창의 입지와 유사합니다. 따라서 이번 선거의 핵심 포인트는 보수의 단일화입니다. 여기서 지켜봐야할 변수는 한덕수와 이준석이 되겠네요.https://v.daum.net/v/20250427120310760
3자 가상대결 이재명 우위…이재명 47% 한덕수 27.7%[KSOI]
CBS-KSOI 정례여론조사한덕수 상대 시 격차 가장 좁아 국힘 후보들 지지율 차이 '미미'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실시된 '3자 가상대결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국민의힘
v.daum.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