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접속 (The Contact, 1997)
    영화이야기 2006. 4. 13. 13:03

    이문열의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가 떠올랐다. 이영화를 보고 나서면서 부터 내내 말이다.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세련되고 유려하고 웅장한 문체에 -- 이문열 자신도 인정했듯이-- 내용없는 단순한 이야기가 감동의 대작으로 둔갑되었던...

    이 영화가 그랬다. 수단의 고상하고 세련된 겉치장이, 그 눈속임이 돈을 벌려는 목적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에, 지금은 훌륭한 방어기제가 되는 모양이다..

    잘 만든 영화 였다. 이 잘 만든 영화는 토요일 아침 10시부터 종로의 모 상영관에서 사람들을 줄지어 서게 만들었다. 이 영화를 보고 있는 2시간 동안 나는 행복한 기분이 들었다. 그런데, 문제는 딱 두시간만 행복했다는 것이다. 영화가 꼭 현실의 반영이여야 한다는 것이 교조적인(?) 영화 보기라고 한다고 해서, 그 역이 진리인 것을 부정할 수는 없는 게다. 아마도 감독의 전적에 내가 너무 큰 기대를 걸었던 것일까..


    이 영화는 정말 이쁜 영화였다..
    너무 이쁜 나머지 그 안에는 자본주의도 없고, 1997년 대한민국도 없고, 어떤 커뮤니케이션도 없었다. 모순의 암시는 커녕 모든지 이쁘게만 빛나고 있었다. 그것도 잔잔하게 말이다.


    영화를 보면서 내내 불편하다가 극장문을 나서면서, 상념이라는 자기 도취에 빠지는 것이 있다면, 이 영화는 '에어 포스 원'만큼이나 뒷상념의 여유도 주지 못하였다.. 그저 쓴 웃음 한번 짓고 두시간동안 행복했었다는 걸 자위하다 나왔다 이거다. 영화가 끝나고 불이 켜지자, 나도 속았던 것인지, 아니면 젖어 들었던 것인지 모를 2시간 동안의 달콤한 꿈에서 몇몇 여자들의 눈가에 눈물이 맺힌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영화에서는 여자들이 왜곡되고 모욕당하고 자연스레 그것을 견고히 하고 있는데도 말이다. 달콤한 거짓 최면이 쌉쌀한 진실보다 낫다는 것은 틀린 말은 아닌 모양이다. 하긴 나도 마찬가지지만..


    영화가 끝나고 내 옆에 앉아 있던 건 다름아닌, 춘천의 그 좋던 물가에서, 새벽의 운치있던 올림픽 공원에서도, 고즈넉한 창경궁에서도, 같이 있었던 서로 원망(?)의 대상인 성헌이였다..(크흐) 하지만 이 날은 옆에 있던게 성헌이여서 다행이였다.



    1996/어느날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