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4월10일자 사설]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 당선에 대한 '극과극' 사설
    오늘자 신문사설 2009. 4. 10. 10:13

    오늘자 사설은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 당선에 대한 문제로 첨예한 대립 양상이다. 선거 과정에 대한 분석과 결과에 대한 평가도 다르다. 역시나 조중동과 한겨레, 경향의 시각이 다르지만, 더 재미있는 것은 지난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 선거때와 정반대로 논리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오늘 사설을 보면 조선일보는 역시 그들 중의 대빵이라는 점을 다시한번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사설의 마지막 문단을 보시라. 그 협박성 어투에 그야말로 손발이 오그라든다.

    [조선] '4.9% 지지' '14개월 임기'의 새 경기교육감
    출처:  news.chosun.com [보기]

    언제부터 조선이 정통성을 그렇게 따졌나. 조선은 이번 경기도 교육감 사태(?)를 선발절차에서부터 깎아내리기를 하고 있다. 낮은 투표율과 보수진영의 후보자 난립때문에 얻게된 어부지리라는 것이다. 선거를 그저 선거공학적으로만 해석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이번 교육감 선거가 국민 다수의 뜻이 반영된게 결코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어서 이다.

     

    그런 후에 마지막에 협박아닌 협박을 한다. 조용히 있으라는 것이다. 이게 언론인가, 깡패인가. 참으로 난감하다.

     

    "김 당선자는 내년 6월까지 1년 2개월간 경기도 교육을 이끌게 된다. 교육 분야에 방향을 엉뚱하게 잡은 대못이 박혀버리면 국가 장래에 두고두고 짐이 된다. 김 당선자는 대못 정책으로 평지풍파를 일으키기보다 '4.9% 지지' '14개월 임기' 교육감에 알맞은 처신을 해야 한다. "

     
    [동아]경기도 학생들을 전교조 이념 실험대상 삼지 말라
    출처:  donga.com [보기]

    동아일보는 이번에 당선된 경기도 교육감에 대해서 칼을 뽑는다. 일제고사 반대나 평준화제도 도입 그리고 특목고 설립 반대를 할까봐 벌써부터 견제구를 날리고 있다. 서울시 교육감이 뽑혔을 때하고는 정반대의 논리이다.

     

    논리 중 해괴망칙한 것은 여유있는 사람들은 서울로 이사하거나, 유학을 보내라는 표현이다. 남아있는 경기도민은 마치 볼모라는 늬앙스이다. 1년남짓 짧은 재임기간이지만, 새 교육감이 잘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것은 바로 수월성이라는 명목아래 줄세우기보다 올바른 사회관, 국가관을 가진 진정한 공교육 확립에 본보기를 보여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1년 2개월이라는 짧은 재임 기간이지만 김 당선자가 전교조의 ‘대리 교육감’이 돼서는 안 된다. 그가 전교조 요구대로 의정부 광명 안산 등 비평준화 지역에 고교 평준화 제도를 도입하고, 외국어고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와 자율형 사립고 설립을 막으려고 나올까 봐 걱정된다. 평등교육의 이념 아래 수월성( ) 교육을 차단하면 그 피해는 곧바로 학생들에게 돌아간다. 여유 있는 주민은 서울로 이사하거나 유학 보내면 그만이지만 다수는 경기도에 남아 자녀를 학교에 보내야 한다. "

     
    [경향]이명박·공정택표 교육의 대안 선택한 경기도
    출처:  news.khan.co.kr [보기]

    경향의 사설은 동아와는 정반대이다. 우선 당선의 의의와 그 해석의 차이가 분명하다. 적의 논리를 우리의 논리로 삼는다는 점에서 좀 유감스럽지만, 어쨌든 이번 당선의 의의는 낮은 투표율에도 불구하고 존중받아야 할 것이다.

     

    "이번 선거 결과는 지난해 7월 말의 서울시 교육감 선거와 판이하다. 강남의 몰표 덕에 공정택 교육감이 ‘정부 심판’을 내세운 후보를 간신히 꺾자 이명박 대통령은 “새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확인한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8개월여 만에 치러진 경기도 선거에선 ‘수월성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의 이명박·공정택표 슬로건을 내세운 후보가 큰 차이로 졌다. 물론 낮은 투표율(12.3%)은 문제다. 하지만 서울시(15.4%)의 결과를 ‘국민적 지지’로 봤다면, 경기도의 결과를 ‘정부 심판’으로 간주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한국] 경기도 교육의 변화를 주시한다
    출처:  news.hankooki.com [보기]

    한국일보는 역시 묘한 중립감을 잃지 않고 있다. 그것이 가끔은 균형이지만, 대부분 양비론이라는 점에서 문제이다. 이번에도 그러한 중립을 대입시키면서, 마치 스포츠 경기 중계를 하듯이 사설을 쓰고 있다.

     

    이 사설의 앞으로의 중계 전망은 정부 교육정책과의 대립과 갈등 부분이다. 일리있는 말이다. 특정단체보다 도민을 위한 교육을 펴겠다는 그의 말에서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이 클 수 밖에 없다.

     

    "직선으로 선출된 경기교육감 자리가 1년 2개월짜리라거나 투표율이 12.3%여서 '소수의 대변자'라고 주장한다면 잘못이다. 거꾸로, 선거 결과를 두고 '이명박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심판' 운운하며 정치적 승리를 강조하는 것도 과대망상이다. 공약을 내걸고 유권자의 선택에 맡겼던 만큼 선거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수렴해 경기도 교육정책에 반영해야 한다. 김 당선자가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바로 그것이다."

     
    [한겨레] 문화방송은 권력에 대한 굴종을 선택하려는가
    출처:  hani.co.kr [보기]

    낮 뜨겁고 부끄럽다. "지금이 어느 세상인데 이런 일이" 라는 말은 이통사 콜센터에나 해당되는 말인가 보다. YTN, KBS 그리고 MBC까지 너무나도 무력하다는 느낌이 든다.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민주주의 자체가 별거 아니었구나 하는 생각마저 드는 것이 가장 슬프다.

     

    여튼 이러한 사태의 핵심에는 언론 개혁이 안되었다는 반증이 있다. 언론, 또한 언론계 내부의 기득권층이라는 엘리트나 고위층의 개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아마도 지난 10년간의 언론 자유가 부담스러웠을지도 모른다. 외부적 요소로 정부만을 탓할게 아니다. 이 참에 바람에도, 폭풍우에도 흔들리지 않을 언론내부의 개혁이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시청자들은 뉴스의 이런 변질을 경영진의 정치적 고려 탓으로 의심한다. 방송법 개정 기도, 피디수첩에 대한 검찰 수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재 등 전방위적으로 압박을 가해온 정권과 타협을 기도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